(1) 메트포르민의 AMPK 경로 작용기전 상세설명

1) AMP/ATP 비율 증가와 에너지 대사 조절

  1. 에너지 감지 메커니즘:
    • 세포 내 ATP가 감소하고 AMP가 증가하면(AMP 비율 증가) 이는 세포의 에너지 부족 상태를 의미합니다.
    • AMPK는 이런 에너지 부족 상태를 감지하는 "에너지 센서" 역할을 합니다.
  2. AMPK 활성화 결과:
    • 활성화된 AMPK는 두 가지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1. 에너지 소비 과정 억제: ATP를 많이 소모하는 과정(지방 합성, 단백질 합성 등)을 억제
      2. 에너지 생산 과정 촉진: 지방산 산화, 포도당 흡수 등 ATP를 생산하는 과정을 활성화

2) 포도당 신생합성 억제와 에너지 대사의 관계

포도당 신생합성(gluconeogenesis)은 중요한 에너지 소비 과정입니다:

  1. 포도당 신생합성의 에너지 비용:
    • 포도당 신생합성은 ATP를 많이 소모하는 과정입니다.
    • 피루브산에서 포도당을 합성하는 데 약 6 ATP가 소모됩니다.
  2. 에너지 절약 메커니즘:
    • 에너지 부족 상황(AMP 비율 증가)에서는 ATP를 소모하는 포도당 신생합성을 억제하는 것이 세포 생존에 유리합니다.
    • AMPK 활성화는 이러한 맥락에서 포도당 신생합성을 억제합니다.
  3. 분자적 메커니즘:
    • AMPK는 CREB-CBP-TORC2 복합체를 분해하여 포도당신생합성 효소(PEPCK, G6Pase 등)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합니다.
    • 또한 AMPK는 포도당신생합성 효소들의 인산화를 통해 직접적으로 활성을 억제합니다.

3) 메트포르민의 작용 원리

메트포르민은 이러한 에너지 대사 조절에 관여합니다:

  1.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 억제:
    • 메트포르민은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을 약하게 억제합니다.
    • 이로 인해 ATP 생산이 약간 감소하고 AMP 비율이 증가합니다.
  2. AMPK 활성화 및 포도당 신생합성 억제:
    • 증가된 AMP 비율은 AMPK를 활성화합니다.
    • 활성화된 AMPK는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포도당 신생합성을 억제합니다.
    • 결과적으로 간에서 포도당 생성이 감소하고 혈당이 낮아집니다.
  3. 에너지 균형 개선:
    • 장기적으로는 포도당 흡수 증가와 지방산 산화 증가를 통해 에너지 생산 효율이 개선됩니다.
    • 세포의 에너지 균형이 회복되면서 인슐린 민감성도 향상됩니다.

따라서, 메트포르민은 일시적으로 세포 에너지 상태를 변화시켜(AMP

비율 증가) AMPK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에너지 비용이 높은 포도당 신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혈당을 낮추는 작용을 합니다. 이런 메커니즘은 세포가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대사를 재조정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2) 메트포르민의 아데닐사이클레이즈 경로 작용기전 상세설명

1) 아데닐 사이클레이즈 억제의 영향 경로

  1. cAMP 생성 감소:
    • 아데닐 사이클레이즈는 ATP를 cAMP(cyclic AMP)로 전환하는 효소입니다.
    • 이 효소가 억제되면 ATP에서 cAMP로의 전환이 감소합니다.
    • 결과적으로 세포 내 cAMP 농도가 감소합니다.
  2. PKA 활성 감소:
    • cAMP는 Protein Kinase A(PKA)의 주요 활성화 인자입니다.
    • cAMP가 PKA의 조절 소단위(regulatory subunit)에 결합하면 PKA의 촉매 소단위(catalytic subunit)가 활성화됩니다.
    • 세포 내 cAMP 농도가 감소하면 PKA 활성화가 감소합니다.
  3. 하위 신호전달 경로 변화:
    • PKA 활성 감소는 여러 하위 표적 단백질의 인산화 감소로 이어집니다.
    • 간에서 이는 글루코스 생성 관련 효소들(예: PEPCK, G6Pase 등)의 전사 인자 활성화 감소로 이어집니다.
    • 결과적으로 글루코네오제네시스(간에서의 포도당 생성)가 억제됩니다.

2) 메트포르민과 당뇨병 치료에서의 의의

메트포르민이 아데닐 사이클레이즈를 억제하고 cAMP-PKA 신호전달을 감소시키는 것은 특히 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요약하면, 아데닐 사이클레이즈 억제는 cAMP 생성 감소 → PKA 활성 감소 → 글루코네오제네시스 관련 효소 활성 감소 → 간 포도당 생성 감소라는 일련의 캐스케이드를 통해 혈당을 낮추는 데 기여합니다. 이것이 메트포르민의 중요한 작용 기전 중 하나입니다.